반응형

주식 22

전환사채, 신주인수권부사채, 교환사채는 어떻게 다를까?

전환사채전환사채는 채권인데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채권입니다. 채권은 만기까지 보유하면 이자도 받고 원금도 돌려받을 수 있는 비교적 안전한 투자자산입니다. 일정한 날짜에 이자를 받고 만기에 원금을 돌려받는 정기예금과 비슷한 상품이며 채권을 주식으로 바꿀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된 상품입니다. 금리가 낮지만 일정기간(발행일로부터 1년 후)이 지난 후에 주식으로 전환하여 시세차익을 낼 수 있습니다.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대개 전환사채 발행은 주가에 악재로 작용합니다. 전환사채 투자자는 발행일로부터 1년 후에 채권을 주식으로 전환하여 매도할 수 있습니다. 발행가보다 높으면 큰 수익도 낼 수 있습니다. 또한 주식수가 증가해 주당가치가 하락하기 때문에 주주가치가 훼손될 수 있습니다. ..

주식 2024.04.02

3자배정 유상증자에 대해 알아보자

3자 배정 유상증자유상증자의 3가지 방식 중 주주배정방식과 일반공모 방식은 대규모 자금조달로 인해 유통주식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주가에는 상당히 부정적입니다. 하지만 자배정 방식의 유상증자는 반대로 주가에 호재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3자 배정이란?3자 배정 방식은 말 그대로 주주가 아닌 특수관계인이나 다른 투자자를 대상으로 하는 방식으로 대기업이 중소기업에 지분투자를 할 때 많이 활용하는 방식입니다. 3자 배정 유상증자는 1년간 보호예수 (3자배정에 참여한 투자자는 1년간 그 주식을 매각할 수 없음)가 되기 때문에 유통주식수가 증가하지 않아 긍정적입니다. 자금조달을 하면서 유통주식수는 증가하지 않고 대기업의 투자라는 효과까지 얻을 수 있어 주가에 긍정적인 경우가 많습니다.보호예수 - 인수, 합병, ..

주식 2024.04.01

유상증자는 주가에 어떤 영향을 줄까?

유상증자 뜻 무슨 의미인가증자는 2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돈을 받고 주식을 주는 유상증자와 돈을 받지 않고 무상으로 주식을 주는 무상증자가 있습니다. 유상증자유상증자는 주식시장에서 바로 자금을 조달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부채가 증가하지 않고 자본만 증가합니다. 대출은 이자를 내야 하기 때문에 비용 부담이 있지만 유상증자는 그런 부담이 없어 기업들이 대규모 자금을 조달할 때 많이 활용합니다. 특히 시장이 활황일 때는 주가도 많이 상승해 있고 주식투자자들의 투자심리도 좋아 유상증자가 흥행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유상증자 시 확인해야 하는 부분1. 유상증자로 증가하는 주식수 확인 전체 주식수 대비 몇 %가 발행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보통 유상증자는 발행 주식수의 30% 이상인 경우가 많습니다. 30%의 주식이..

주식 2024.03.31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인 유상증자와 메자닌 알아보기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기업이 주식시장에 상장하는 가장 큰 이유는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서입니다. 자금이 있어야 연구 개발도 하고, 공장도 건설하고, 제품도 생산할 수 있습니다. 빚이 너무 많으면 빚을 갚기 위한 용도로 자금을 조달하기도 합니다. 유상증자이미 시장에 상장한 기업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자금을 조달합니다. 은행에서 돈을 차입하기도 하고 채권을 발행하여 돈을 조달하기도 합니다. 차입이나 채권발행은 돈을 빌리는 것이라 부채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주식시장 내에서 자금을 조달하기도 하는데 이를 유상증자라고 합니다. 유상증자는 기업이 주식을 추가로 발행하여 발행된 주식을 투자자들에게 돈을 받고 주는 것입니다. 주식수가 늘어나는 단점이 있지만 기업 입장에서는 부채가 아니라 주식수만 증가하..

주식 2024.03.30

옵션(Option) 콜옵션과 풋옵션 무슨 뜻일까요?

옵션(Option)에 대해 알아봅시다선물과 옵션선물이나 옵션은 미래에 어떤 자산이나 상품을 사고 판다는 구조에서는 비슷하지만 다른 점이 있습니다. 선물은 미래의 특정 시점과 특정 가격에 매수 혹은 매도를 하기로 한 약속입니다. 그리고 약속은 반드시 지켜야 합니다.  옵션은 권리입니다. 옵션은 어떤 상품이나 금융자산을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매수, 매도할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권리는 살 수도, 팔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권리를 행사하기 싫으면 권리를 포기해도 상관없습니다. 당연히 포기에 따른 손실은 감수해야 합니다. 콜옵션과 예시콜옵션은 어떤 자산이 미래의 어느 시점에 가격이 상승하더라도 약정한 가격에 살 수 있는 권리입니다.  A라는 사람이 컴퓨터를 판매하는 B라는 사람에게 컴퓨터를 사기..

주식 2024.03.29

선물(Futures) 선물거래의 의미와 이해 그리고 예시

선물(Futures)은 어떤 거래일까?주식이란?주식은 기업의 지분을 사는 것입니다. 보유기간에 제한도 없고 언제든 사고팔 수 있습니다. 주식을 매수하는 사람은 매도하는 사람에게 현재 거래되는 가격에 매수하려는 수량을 곱하여 그만큼의 금액을 지불하고 지분을 인수하면 됩니다. 선물이란?선물은 어떤 상품이나 금융자산을 미리 결정된 가격으로 미래의 어느 시점에 매수, 매도할 것을 약속하는 거래입니다.  선물의 이해예를 들어 배추를 재배하는 농부가 있습니다. 배추는 그해의 날씨 상황에 따라 풍작이 될 수도 있고 흉작이 될 수도 있는 상품입니다. 배추를 재배해서 안정적인 수입을 원하는 농부 입장에서는 배추가격이 배추를 수확하는 시점에서 어떻게 변할지 알 수가 없기 때문에 일정한 가격에 판매하길 원합니다. 현재 배추..

주식 2024.03.28

[주식용어] 기저효과 역기저효과 무슨 뜻일까?

기저효과와 역기저효과 어떤 차이가 있나요?기저효과란?기저효과는 작년 혹은 전분기 실적이 워낙 안 좋아서 올해 혹은 이번 분기 실적이 조금만 개선되어도 성장하는 것처럼 느껴지는 효과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지난해 경제성장률이 -1% 역성장을 기록했는데 올해 0% 성장을 기록했다면 사실 성장을 한 것이 아니지만 성장을 했다고 생각하게 됩니다. 어떤 기업이 매 분기 50억의 이익을 내다가 전분기에 20억에 불과한 이익을 냈다고 가정을 해볼 때 이번 분기에 다시 50억의 이익을 냈다면 시장은 이 기업에 주목을 하게 됩니다. 과거와 같은 수준의 이익이지만 지난 분기 대비해서 2배 이상의 성장을 했기 때문에 실적 개선주로 시장의 주목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를 기저효과에 의한 실적 성장이라고 합니다. 역기저효과란..

주식 2024.03.27

라지캡(대형주), 스몰캡(중소형주)은 어떤 주식일까?

스몰캡(중소형주)은 어떤 주식일까?주식시장에는 다양한 기업들이 존재합니다. 시가총액이 매우 큰 대형주도 있고 시가총액이 작은 기업도 있습니다. 주식시장에서는 시가총액 크기별로 대형주, 중형주, 소형주를 분류합니다. 시가총액 상위 1위부터 100위까지를 대형주라고 합니다. 대형주는 Large Capital이라고 부르며 줄여서 라지캡이라고 합니다. 시가총액 101위부터 300위까지 중형주 Mid Capital(미드캡), 시가총액 301위부터는 소형주 Small Capital(스몰캡)이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중형주와 소형주를 합쳐서 중소형주라고 부릅니다. 대형주라지캡(대형주)은 덩치가 크기 때문에 안정적이지만 주가 움직임이 무거운 편입니다. 개인투자자들보다는 외국인, 기관투자자들의 매매비중이 높은 편입니다. ..

주식 2024.03.26

주식에서 황소와 곰 - 베어마켓과 불마켓은 무슨 뜻일까?

베어마켓, 불마켓 무슨 뜻일까요?주식시장에서 황소는 상승을 의미합니다. 불마켓(Bull Market)이란 장기간에 걸친 상승장이라는 의미입니다. 그리고 곰은 하락을 의미합니다. 베어마켓(Bear Market)이란 장기간에 걸친 약세장을 의미합니다. 황소와 곰의 의미황소와 곰을 상승과 하락의 의미로 사용하게 되었는지는 의견이 분분합니다. 가장 유력한 것은 황소와 곰의 공격하는 모습에서 유래했다는 설입니다. 황소는 뿔을 밑에서 위로 올리며 공격하여 상대를 제압하기 때문에 주가가 상승하는 모습을 연상시키고 곰은 자신의 앞발을 위에서 아래로 내리쳐서 공격하기 대문에 주가가 하락하는 모습을 연상시킨다고 합니다.  강세장(불마켓)과 약세장(베어마켓)주식시장은 대체로 강세장이 많습니다. 주가는 대체로 경기에 연동됩니..

주식 2024.03.25

주식 이야기 하는데 유동성장세와 실적장세 무슨말일까?

유동성장세와 실적장세에 대해 알아보자주식이 상승하는 원인은 매우 다양합니다. 주식시장으로 돈이 많이 유입되어 상승하기도 하고 기업들의 실적이 좋아져서 상승하기도 합니다. 다른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주가가 싸서 오르기도 하고 증시를 부양하려는 정부정책에 대한 기대감에 의해 오르기도 합니다. 다양한 이유들로 인해 시장은 상승도 하락도 합니다. 그중 '유동성장세'란 돈의 힘이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장세를 의미합니다. 기업의 실직이 좋지 않고 경제상황이 좋지 않아도 주식을 매수하려는 수요가 많다면 시장은 강한 상승세를 보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유동성장세유동성장세는 돈의 힘으로 주가를 올리는 장세입니다. 그래서 많은 업종과 기업들이 고르게 상승합니다. 주식시장으로 유입되는 유동성의 속도가 급격히 증가하면 주가상..

주식 2024.03.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