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우주 71

슈퍼 문(Supermoon)이란? 달이 가끔 더 커 보이는 이유는? 언제 슈퍼 문을 볼수 있을까?

슈퍼 문이란 무엇인가요?슈퍼문(Supermoon)은 달이 지구에 가장 가까운 지점인 근지점(perigee)에 있을 때 보름달이나 초승달이 되는 현상입니다. 이 현상은 천문학적으로 달의 궤도와 위치에 따른 변화로 인해 발생합니다. 슈퍼문이 나타날 때 달은 평소 보름달보다 더 크고 밝게 보입니다.  슈퍼문의 주요 특징근지점과 원지점근지점 : 달이 지구에 가장 가까운 지점으로, 약 356,500km 떨어져 있습니다. 원지점 : 달이 지구에서 가장 먼 지점으로, 약 406,700km 떨어져 있습니다.크기와 밝기슈퍼문은 근지점에 위치한 보름달로, 평소 보름달보다 약 14% 더 크고 30% 더 밝게 보입니다. 이는 달의 거리 차이로 인한 시각적 효과 때문입니다.궤도의 타원형달의 궤도는 완벽한 원이 아닌 타원형이기 ..

우주/천문현상 2024.06.29

토성의 역행운동(retrograde motion) 천문학에서 역행 운동이란 무엇일까요? 그리고 앞으로 역행하는 행성은?

역행운동(retrograde motion)천문학에서 역행 운동 (retrograde motion)이란 천체(주로 행성)가 일시적으로 평소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 현상은 주로 지구를 포함한 내행성과 외행성의 상대적인 위치와 궤도 운동 때문에 발생합니다.왜 역행 운동이 발생하나요?역행 운동은 주로 지구와 다른 행성의 공전 속도 차이로 인해 발생합니다. 지구를 비롯한 행성들은 태양 주위를 공전하고 있으며, 이들의 속도와 궤도 반경은 서로 다릅니다.내행성(수성, 금성)에서의 역행 운동내행성은 태양에 더 가까운 궤도를 돌고 있기 때문에 지구보다 더 빠르게 태양 주위를 공전합니다. 지구에서 보면 이 행성들이 서쪽에서 동쪽으로 움직이다가 어느 순간 동쪽에서 서쪽으로 움..

우주/천문현상 2024.06.28

블러드 문 월식이란 무엇이고 왜 발생하며 어떻게 관찰하나요?

월식이란 무엇인가?월식은 지구가 태양과 달 사이에 위치하여 지구의 그림자가 달에 드리워지는 현상입니다. 이는 달이 지구의 그림자에 가려져 어두워지는 자연 현상으로, 지구의 그림자 종류에 따라 여러 형태로 나타납니다. 월식이 발생하는 이유월식은 달이 지구의 그림자 속으로 들어갈 때 발생합니다. 하지만 월식은 매달 일어나지 않습니다. 이는 달의 궤도면이 지구의 궤도면(황도면)과 약 5도 기울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월식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달이 지구의 본그림자에 들어가는 교점 근처에서 만월일 때 일어납니다. 월식의 종류반영식 (Penumbral Lunar Eclipse)반영식은 달이 지구의 반그림자(반음영)에 들어가는 현상입니다.  반그림자는 지구의 본그림자(본음영) 주변에 형성된 희미한 그림자입니다. 특징밝..

우주/천문현상 2024.06.27

태양을 삼키는 달 일식이란 무엇일까? 왜 발생하고 관찰은 어떻게 할까?

일식이란 무엇인가?일식은 태양, 달, 지구가 일직선 상에 놓일 때 발생하는 천문 현상입니다.  일식일식은 달이 태양과 지구 사이를 지나면서 태양을 가리는 현상입니다. 태양일식은 다시 세 가지로 분류됩니다:부분일식 (Partial Solar Eclipse)부분일식은 달이 태양의 일부분만 가릴 때 발생합니다. 이때 태양의 일부는 계속해서 보이기 때문에 태양의 한쪽이 가려지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특징 : 태양의 일부가 가려지고 나머지 부분이 보입니다.빈도 : 부분일식은 태양일식 중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형태입니다.개기일식 (Total Solar Eclipse)개기일식은 달이 태양을 완전히 가릴 때 발생합니다. 이때 태양의 외곽만 보이는 코로나가 나타납니다.특징 : 태양이 완전히 가려지면서 주위가 어두워지고..

우주/천문현상 2024.06.26

지구에서 가장 크게 보였던 혜성이며 육안으로도 관측했던 1996년의 대혜성 햐쿠타케 혜성(Commet Hyakutake)

햐쿠타케 혜성의 발견과 명명햐쿠타케 혜성(C/1996 B2)은 1996년 1월 30일 일본의 아마추어 천문학자 햐쿠타케 유지(Yuji Hyakutake)에 의해 발견되었습니다. 그는 가고시마 현에서 망원경을 이용해 천체를 관측하던 중, 밝고 긴 꼬리를 가진 혜성을 발견하게 됩니다. 이 혜성은 발견자의 이름을 따서 '햐쿠타케 혜성'으로 명명되었습니다. 발견 당시 혜성은 매우 밝고 뚜렷한 꼬리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는 햐쿠타케가 혜성을 쉽게 발견할 수 있었던 주요 이유 중 하나였습니다. 혜성의 공식적인 명칭은 'C/1996 B2'로, 'C'는 비주기 혜성, '1996'은 발견 연도, 'B'는 발견된 달의 상반기, '2'는 그 달의 두 번째 발견임을 나타냅니다. 햐쿠타케 혜성의 발견은 천문학계에서 큰 화제가 ..

우주/혜성 2024.06.19

역사상 가장 오래 육안으로 관측된 1997년의 대혜성 헤일-밥 혜성(Comet Hale–Bopp (C/1995 O1))

헤일-밥 혜성의 발견과 역사헤일-밥 혜성(Comet Hale-Bopp, C/1995 O1)은 1995년에 처음 발견된 후 1997년에 대혜성으로 자리 잡은 천문학적 사건입니다. 이 혜성은 발견 후 일반 대중과 과학자 모두의 큰 관심을 받았으며,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역사에 길이 남게 되었습니다.발견의 순간헤일-밥 혜성은 1995년 7월 23일, 두 명의 아마추어 천문학자 앨런 헤일(Alan Hale)과 토머스 밥(Thomas Bopp)에 의해 독립적으로 발견되었습니다. 헤일은 뉴멕시코주에서 관측 중이었고, 밥은 애리조나주에서 친구들과 함께 천문 관측을 하던 중이었습니다. 두 천문학자는 각각 다른 지역에서 동일한 혜성을 발견한 후 곧바로 국제천문연맹(IAU)에 보고하였고, 이 혜성은 발견자들의 이름을 ..

우주/혜성 2024.06.17

하와이에서 발견한 2003년의 대혜성 니트 혜성(Comet NEAT (C/2002 V1))

니트 혜성(Comet NEAT (C/2002 V1))의 발견니트 혜성(Comet NEAT (C/2002 V1))는 2002년 11월 6일,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근지구 소행성 탐사팀인 NEAT(Near Earth Asteroid Tracking)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습니다. NEAT는 근지구 소행성 및 혜성을 탐지하고 추적하는 임무를 맡고 있었으며, 이 임무를 통해 다양한 천체들을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니트 혜성도 이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발견된 혜성 중 하나입니다. NEAT 프로그램은 할레이 혜성 이후로 더 많은 혜성들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었으며, 하와이의 할레아칼라 천문대에 설치된 자동화된 카메라 시스템을 사용해 하늘을 지속적으로 관찰했습니다. 니트 혜성은 이 시스템에 ..

우주/혜성 2024.06.15

2007년의 대혜성 어두운 밤하늘을 물들인 찬란한 맥너트 혜성 (Comet McNaught (C/2006 P1))

혜성의 발견과 명명맥너트 혜성(Comet McNaught, 공식 명칭 C/2006 P1)은 2006년 8월 7일, 호주의 천문학자 로버트 H. 맥너트(Robert H. McNaught)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습니다. 그는 호주 서밋 천문대(Siding Spring Observatory)에서 수행한 혜성 탐색 프로그램 중에 이 혜성을 발견하였으며, 이는 그의 이름을 따서 '맥너트 혜성'으로 명명되었습니다. 이 혜성은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장주기 혜성으로, 그 기원은 태양계 외곽에 위치한 오르트 구름(Oort Cloud)으로 추정됩니다. 오르트 구름은 태양계의 끝자락에 위치한 거대한 구형의 혜성 집합체로, 태양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혜성들이 대부분 미미한 활동을 보이는 지역입니다. 하지만 때때로 중력적 교..

우주/혜성 2024.06.13

2011년의 대혜성 태양을 통과한 기적의 러브조이 혜성 (Comet Lovejoy (C/2011 W3))

러브조이 혜성의 발견과 이름의 유래러브조이 혜성 (C/2011 W3)은 2011년 11월 27일, 호주의 아마추어 천문학자인 테리 러브조이(Terry Lovejoy)에 의해 발견되었습니다. 테리 러브조이는 이미 여러 혜성을 발견한 경력이 있는 아마추어 천문학자로, 이 혜성도 그의 이름을 따서 러브조이 혜성으로 명명되었습니다. 혜성의 공식 명칭인 C/2011 W3은 발견된 해와 순서를 나타냅니다. 'C'는 혜성이 장주기 혜성임을, '2011'은 발견된 연도를, 'W3'는 그 해의 3번째 혜성 발견임을 의미합니다. 러브조이 혜성은 태양을 통과하는 혜성으로 유명합니다. 이 혜성은 크로이츠 혜성군(Kreutz Sungrazers)에 속하며, 태양에 극도로 가까이 접근해 표면이 녹고 증발하는 과정을 거쳤습니다. ..

우주/혜성 2024.06.12

2020년의 밤하늘 육안으로 관찰했던 대혜성 NEOWISE(네오와이즈) 혜성(C/2020 F3)

NEOWISE 혜성의 발견과 명명발견 배경2020년 3월 27일, NASA의 근지구객체 광역적외선탐사위성(NEOWISE: Near-Earth Object Wide-field Infrared Survey Explorer)은 새로운 혜성을 발견했습니다. 이 혜성은 공식적으로 C/2020 F3으로 명명되었지만, 탐사 위성의 이름을 따서 "NEOWISE 혜성"으로 불립니다.발견 과정NEOWISE는 주로 근지구 소행성 및 혜성을 탐지하기 위해 설계된 위성입니다. 2013년 재가동된 이래, 적외선 데이터를 활용하여 우주 공간을 탐사하며 새로운 천체를 찾아내고 있습니다. C/2020 F3 혜성은 이러한 탐사 과정에서 발견된 천체 중 하나입니다.명명 규칙혜성의 공식 명칭은 발견 연도와 발견 순서를 바탕으로 지정됩니다...

우주/혜성 2024.06.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