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우주/혜성 15

지구에서 가장 크게 보였던 혜성이며 육안으로도 관측했던 1996년의 대혜성 햐쿠타케 혜성(Commet Hyakutake)

햐쿠타케 혜성의 발견과 명명햐쿠타케 혜성(C/1996 B2)은 1996년 1월 30일 일본의 아마추어 천문학자 햐쿠타케 유지(Yuji Hyakutake)에 의해 발견되었습니다. 그는 가고시마 현에서 망원경을 이용해 천체를 관측하던 중, 밝고 긴 꼬리를 가진 혜성을 발견하게 됩니다. 이 혜성은 발견자의 이름을 따서 '햐쿠타케 혜성'으로 명명되었습니다. 발견 당시 혜성은 매우 밝고 뚜렷한 꼬리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는 햐쿠타케가 혜성을 쉽게 발견할 수 있었던 주요 이유 중 하나였습니다. 혜성의 공식적인 명칭은 'C/1996 B2'로, 'C'는 비주기 혜성, '1996'은 발견 연도, 'B'는 발견된 달의 상반기, '2'는 그 달의 두 번째 발견임을 나타냅니다. 햐쿠타케 혜성의 발견은 천문학계에서 큰 화제가 ..

우주/혜성 2024.06.19

역사상 가장 오래 육안으로 관측된 1997년의 대혜성 헤일-밥 혜성(Comet Hale–Bopp (C/1995 O1))

헤일-밥 혜성의 발견과 역사헤일-밥 혜성(Comet Hale-Bopp, C/1995 O1)은 1995년에 처음 발견된 후 1997년에 대혜성으로 자리 잡은 천문학적 사건입니다. 이 혜성은 발견 후 일반 대중과 과학자 모두의 큰 관심을 받았으며,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역사에 길이 남게 되었습니다.발견의 순간헤일-밥 혜성은 1995년 7월 23일, 두 명의 아마추어 천문학자 앨런 헤일(Alan Hale)과 토머스 밥(Thomas Bopp)에 의해 독립적으로 발견되었습니다. 헤일은 뉴멕시코주에서 관측 중이었고, 밥은 애리조나주에서 친구들과 함께 천문 관측을 하던 중이었습니다. 두 천문학자는 각각 다른 지역에서 동일한 혜성을 발견한 후 곧바로 국제천문연맹(IAU)에 보고하였고, 이 혜성은 발견자들의 이름을 ..

우주/혜성 2024.06.17

하와이에서 발견한 2003년의 대혜성 니트 혜성(Comet NEAT (C/2002 V1))

니트 혜성(Comet NEAT (C/2002 V1))의 발견니트 혜성(Comet NEAT (C/2002 V1))는 2002년 11월 6일,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근지구 소행성 탐사팀인 NEAT(Near Earth Asteroid Tracking)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습니다. NEAT는 근지구 소행성 및 혜성을 탐지하고 추적하는 임무를 맡고 있었으며, 이 임무를 통해 다양한 천체들을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니트 혜성도 이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발견된 혜성 중 하나입니다. NEAT 프로그램은 할레이 혜성 이후로 더 많은 혜성들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었으며, 하와이의 할레아칼라 천문대에 설치된 자동화된 카메라 시스템을 사용해 하늘을 지속적으로 관찰했습니다. 니트 혜성은 이 시스템에 ..

우주/혜성 2024.06.15

2007년의 대혜성 어두운 밤하늘을 물들인 찬란한 맥너트 혜성 (Comet McNaught (C/2006 P1))

혜성의 발견과 명명맥너트 혜성(Comet McNaught, 공식 명칭 C/2006 P1)은 2006년 8월 7일, 호주의 천문학자 로버트 H. 맥너트(Robert H. McNaught)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습니다. 그는 호주 서밋 천문대(Siding Spring Observatory)에서 수행한 혜성 탐색 프로그램 중에 이 혜성을 발견하였으며, 이는 그의 이름을 따서 '맥너트 혜성'으로 명명되었습니다. 이 혜성은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장주기 혜성으로, 그 기원은 태양계 외곽에 위치한 오르트 구름(Oort Cloud)으로 추정됩니다. 오르트 구름은 태양계의 끝자락에 위치한 거대한 구형의 혜성 집합체로, 태양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혜성들이 대부분 미미한 활동을 보이는 지역입니다. 하지만 때때로 중력적 교..

우주/혜성 2024.06.13

2011년의 대혜성 태양을 통과한 기적의 러브조이 혜성 (Comet Lovejoy (C/2011 W3))

러브조이 혜성의 발견과 이름의 유래러브조이 혜성 (C/2011 W3)은 2011년 11월 27일, 호주의 아마추어 천문학자인 테리 러브조이(Terry Lovejoy)에 의해 발견되었습니다. 테리 러브조이는 이미 여러 혜성을 발견한 경력이 있는 아마추어 천문학자로, 이 혜성도 그의 이름을 따서 러브조이 혜성으로 명명되었습니다. 혜성의 공식 명칭인 C/2011 W3은 발견된 해와 순서를 나타냅니다. 'C'는 혜성이 장주기 혜성임을, '2011'은 발견된 연도를, 'W3'는 그 해의 3번째 혜성 발견임을 의미합니다. 러브조이 혜성은 태양을 통과하는 혜성으로 유명합니다. 이 혜성은 크로이츠 혜성군(Kreutz Sungrazers)에 속하며, 태양에 극도로 가까이 접근해 표면이 녹고 증발하는 과정을 거쳤습니다. ..

우주/혜성 2024.06.12

2020년의 밤하늘 육안으로 관찰했던 대혜성 NEOWISE(네오와이즈) 혜성(C/2020 F3)

NEOWISE 혜성의 발견과 명명발견 배경2020년 3월 27일, NASA의 근지구객체 광역적외선탐사위성(NEOWISE: Near-Earth Object Wide-field Infrared Survey Explorer)은 새로운 혜성을 발견했습니다. 이 혜성은 공식적으로 C/2020 F3으로 명명되었지만, 탐사 위성의 이름을 따서 "NEOWISE 혜성"으로 불립니다.발견 과정NEOWISE는 주로 근지구 소행성 및 혜성을 탐지하기 위해 설계된 위성입니다. 2013년 재가동된 이래, 적외선 데이터를 활용하여 우주 공간을 탐사하며 새로운 천체를 찾아내고 있습니다. C/2020 F3 혜성은 이러한 탐사 과정에서 발견된 천체 중 하나입니다.명명 규칙혜성의 공식 명칭은 발견 연도와 발견 순서를 바탕으로 지정됩니다...

우주/혜성 2024.06.11

2024년 9월말 ~ 10월 밤하늘을 수놓을 우주쇼 혜성 C/2023 A3(Tsuchinshan-ATLAS) 쯔진산-아틀라스

혜성 C/2023 A3의 발견과 명명C/2023 A3, 더 잘 알려진 이름으로 Tsuchinshan-ATLAS 혜성은 2023년 초에 발견된 장주기 혜성입니다. 이 혜성의 발견은 중국의 유명한 천문대인 쯔진산 천문대(Tsuchinshan Observatory)와 하와이의 ATLAS(지구 근접천체 자동 경고 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졌습니다. 이 두 기관은 각각 독립적으로 이 혜성을 관측했고, 이후 발견 사실을 공유하게 되었습니다.발견의 역사2023년 1월, 쯔진산 천문대의 천문학자들은 밤하늘을 관측하던 중 미지의 천체를 발견했습니다. 비슷한 시기에 ATLAS 시스템도 동일한 천체를 포착했습니다. 이 천체는 일반적인 소행성과는 다른 특성을 보여 혜성일 가능성이 제기되었습니다.명명의 과정혜성의 공식 명칭인 C/..

우주/혜성 2024.06.01

소행성 지구 충돌 최종 경고 시스템(ATLAS)에서 처음 발견한 아틀라스 혜성(C/2019 Y4)

아틀라스 혜성의 발견과 기원혜성의 발견아틀라스 혜성(C/2019 Y4)은 2019년 12월 28일, 하와이의 아틀라스(ATLAS: Asteroid Terrestrial-impact Last Alert System) 망원경 시스템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습니다. 아틀라스 망원경 시스템은 지구에 접근하는 소행성 및 혜성의 충돌 위험을 조기에 감지하기 위해 설계된 자동화 관측 시스템입니다. 이 시스템은 천문학자들이 작은 천체들을 실시간으로 추적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아틀라스 혜성의 정식 명칭은 C/2019 Y4이며, 여기서 'C'는 비주기 혜성을 의미하고, '2019'는 발견된 연도, 'Y4'는 해당 연도의 4번째 반달에서 발견된 혜성임을 나타냅니다. 발견 당시 이 혜성은 북쪽 하늘의 기린자리 근처에..

우주/혜성 2024.05.31

우주의 희귀한 방랑자 지구에 가장 가까이 다가온 렉셀 혜성(Lexell's Commet)

렉셀 혜성(Lexell's Commet)지금까지 발견된 혜성 중 지구에 가장 가까이 접근한 혜성입니다. 1770년 7월 1일 지구에 220만㎞까지 다가왔습니다.렉셀 혜성의 탄생과 역사렉셀 혜성은 1770년에 스웨덴의 천문학자 Anders Johan Lexell에 의해 발견된, 우리 태양계에서 특이한 특성을 지닌 혜성입니다. 이 혜성은 단기적인 관측 기간 동안에만 지구에 가까운 궤도를 돌며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다른 행성들의 영향을 받아 그 궤도가 변경되는 희귀한 현상을 보입니다. 렉셀 혜성의 역사는 1770년 6월 14일, Anders Johan Lexell이 이 혜성을 발견하고 유명해졌습니다. 그는 렉셀 혜성의 궤도를 계산하고 이 혜성이 1770년에 지구에 매우 가까이 접근한 것을 발견했습니다. 이후..

우주/혜성 2024.05.30

2024년 지구에 근접하는 올베르스 혜성(13P/Olbers)

올베르스 혜성이란올베르스 혜성(13P/Olbers)은 태양계의 소행성이자 단기 혜성으로 분류되는 천체입니다. 이 혜성은 1779년 독일의 천문학자 하인리히 올베르스(Heinrich Wilhelm Olbers)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그 후 1852년에 다시 발견되었습니다. 이 혜성은 태양과 지구 사이의 궤도를 따라 공전하며, 근일점과 원일점 사이의 거리를 약 1.9 AU(지구와 태양 사이의 평균 거리인 천문 단위)에서 5.7 AU까지 변화시킵니다. 올베르스 혜성은 주기적으로 태양에 접근하여 태양의 열에 의해 표면 물질이 기화하여 대형 대기와 꼬리를 형성합니다. 이 꼬리는 태양 방향으로 향하며, 태양 바람과 태양 광압에 의해 형성됩니다. 이 혜성은 주기적으로 지구와 가까워지는데, 이때마다 우리는 이를 관측하..

우주/혜성 2024.05.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