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초보주식 10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인 유상증자와 메자닌 알아보기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기업이 주식시장에 상장하는 가장 큰 이유는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서입니다. 자금이 있어야 연구 개발도 하고, 공장도 건설하고, 제품도 생산할 수 있습니다. 빚이 너무 많으면 빚을 갚기 위한 용도로 자금을 조달하기도 합니다. 유상증자이미 시장에 상장한 기업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자금을 조달합니다. 은행에서 돈을 차입하기도 하고 채권을 발행하여 돈을 조달하기도 합니다. 차입이나 채권발행은 돈을 빌리는 것이라 부채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주식시장 내에서 자금을 조달하기도 하는데 이를 유상증자라고 합니다. 유상증자는 기업이 주식을 추가로 발행하여 발행된 주식을 투자자들에게 돈을 받고 주는 것입니다. 주식수가 늘어나는 단점이 있지만 기업 입장에서는 부채가 아니라 주식수만 증가하..

주식 2024.03.30

선물(Futures) 선물거래의 의미와 이해 그리고 예시

선물(Futures)은 어떤 거래일까?주식이란?주식은 기업의 지분을 사는 것입니다. 보유기간에 제한도 없고 언제든 사고팔 수 있습니다. 주식을 매수하는 사람은 매도하는 사람에게 현재 거래되는 가격에 매수하려는 수량을 곱하여 그만큼의 금액을 지불하고 지분을 인수하면 됩니다. 선물이란?선물은 어떤 상품이나 금융자산을 미리 결정된 가격으로 미래의 어느 시점에 매수, 매도할 것을 약속하는 거래입니다.  선물의 이해예를 들어 배추를 재배하는 농부가 있습니다. 배추는 그해의 날씨 상황에 따라 풍작이 될 수도 있고 흉작이 될 수도 있는 상품입니다. 배추를 재배해서 안정적인 수입을 원하는 농부 입장에서는 배추가격이 배추를 수확하는 시점에서 어떻게 변할지 알 수가 없기 때문에 일정한 가격에 판매하길 원합니다. 현재 배추..

주식 2024.03.28

[주식용어] 기저효과 역기저효과 무슨 뜻일까?

기저효과와 역기저효과 어떤 차이가 있나요?기저효과란?기저효과는 작년 혹은 전분기 실적이 워낙 안 좋아서 올해 혹은 이번 분기 실적이 조금만 개선되어도 성장하는 것처럼 느껴지는 효과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지난해 경제성장률이 -1% 역성장을 기록했는데 올해 0% 성장을 기록했다면 사실 성장을 한 것이 아니지만 성장을 했다고 생각하게 됩니다. 어떤 기업이 매 분기 50억의 이익을 내다가 전분기에 20억에 불과한 이익을 냈다고 가정을 해볼 때 이번 분기에 다시 50억의 이익을 냈다면 시장은 이 기업에 주목을 하게 됩니다. 과거와 같은 수준의 이익이지만 지난 분기 대비해서 2배 이상의 성장을 했기 때문에 실적 개선주로 시장의 주목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를 기저효과에 의한 실적 성장이라고 합니다. 역기저효과란..

주식 2024.03.27

주식에서 황소와 곰 - 베어마켓과 불마켓은 무슨 뜻일까?

베어마켓, 불마켓 무슨 뜻일까요?주식시장에서 황소는 상승을 의미합니다. 불마켓(Bull Market)이란 장기간에 걸친 상승장이라는 의미입니다. 그리고 곰은 하락을 의미합니다. 베어마켓(Bear Market)이란 장기간에 걸친 약세장을 의미합니다. 황소와 곰의 의미황소와 곰을 상승과 하락의 의미로 사용하게 되었는지는 의견이 분분합니다. 가장 유력한 것은 황소와 곰의 공격하는 모습에서 유래했다는 설입니다. 황소는 뿔을 밑에서 위로 올리며 공격하여 상대를 제압하기 때문에 주가가 상승하는 모습을 연상시키고 곰은 자신의 앞발을 위에서 아래로 내리쳐서 공격하기 대문에 주가가 하락하는 모습을 연상시킨다고 합니다.  강세장(불마켓)과 약세장(베어마켓)주식시장은 대체로 강세장이 많습니다. 주가는 대체로 경기에 연동됩니..

주식 2024.03.25

주식 이야기 하는데 유동성장세와 실적장세 무슨말일까?

유동성장세와 실적장세에 대해 알아보자주식이 상승하는 원인은 매우 다양합니다. 주식시장으로 돈이 많이 유입되어 상승하기도 하고 기업들의 실적이 좋아져서 상승하기도 합니다. 다른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주가가 싸서 오르기도 하고 증시를 부양하려는 정부정책에 대한 기대감에 의해 오르기도 합니다. 다양한 이유들로 인해 시장은 상승도 하락도 합니다. 그중 '유동성장세'란 돈의 힘이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장세를 의미합니다. 기업의 실직이 좋지 않고 경제상황이 좋지 않아도 주식을 매수하려는 수요가 많다면 시장은 강한 상승세를 보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유동성장세유동성장세는 돈의 힘으로 주가를 올리는 장세입니다. 그래서 많은 업종과 기업들이 고르게 상승합니다. 주식시장으로 유입되는 유동성의 속도가 급격히 증가하면 주가상..

주식 2024.03.24

성장주와 가치주에 대해 알아보고 이해하기

성장주성장주는 미래가 중요하지만 가치주는 현재가 더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가족 중에 학생이 있는데 공부를 잘한다면 그 학생은 성장주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리고 가족 중에 재산이 많은 할아버지, 할머니가 있다면 그분들은 가치주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학생이 더 좋은 학교에 가고 좋은 직장에 취업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공부를 해야 하고 부모님은 열심히 뒷바라지를 해야 합니다. 즉 투자를 계속해야 하는 겁니다. 따라서 성장주는 돈이 많이 필요합니다. 투자를 하지 않으면 도태되고 성장을 할 수 없습니다. 돈을 벌지 못해도 투자를 계속해야 하기 때문에 현재의 실적이 좋기를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가치주가치주는 불확실한 미래가 아닌 현재에 무게를 둡니다. 미래 성장 가능성은 낮지만 벌어서 쌓아놓은 이익이 많기..

주식 2024.03.23

성장주는 어떤 주식일까요?

성장주의 이해를 위한 예시성장주에 대한 이해를 위해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K-POP은 한국시장을 넘어 글로벌 대세입니다. BTS가 미국 빌보드 싱글차트에서 1위를 차지했고 일본과 동남아 등에서 한국의 아이돌들은 엄청난 인기를 누리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인기 있는 아이돌은 하루아침에 되는 것이 아닙니다. 이들은 혹독한 연습생 기간을 거ㅣ고 데뷔해서도 치열한 경쟁을 거칩니다. 여러 해 동안 능력을 검증받은 후에 데뷔를 하고 마침내 글로벌 아이돌로 인정을 받게 되는 것입니다. 연습생과 데뷔한 지 얼마되지 않은 아이돌은 미래를 예측하기는 쉽지 않지만 성장 가능성만큼은 무궁무진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반면 트와이스 같은 유명 아이돌들은 이미 성장을 했습니다. 돈도 많이 벌었고 인기도 여전합니다. 하지만 전성기..

주식 2024.03.22

경기민감주는 시크리컬 그럼 경기방어주(Business Cycle Defensive Stock)는 어떤 뜻일까요?

경기방어주(Business Cycle Defensive Stock)는 어떤 뜻일까요?이 전에 시크리컬(경기민감주)은 경제상황에 다라 사이클을 타는 산업이라고 포스팅 했습니다. 경기가 좋아지면 업종의 실적도 좋아지고 경기가 나빠지면 실적도 나빠지는 경기에 민감한 업종을 경기민감주라고 합니다. 이와는 반대로 경기와 상관없이 꾸준한 실적을 내는 업종을 경기방어주라고 하니다. 즉 경제상황에 상관없이 일정한 실적을 유지하는 기업들이 속해 있는 산업입니다. [주식용어] 시크리컬(cyclical) 결기민감주 뜻과 시크리컬의 업종을 알아보자 통신산업경기방어주로 불리는 가장 대표적인 산업은 통신산업입니다. 통신화사는 휴대폰을 사용하는 소비자들이 매달 지불하는 통신요금으로 이익을 내는 기업입니다. 경기가 좋지 않다고 휴대..

주식 2024.03.21

밸류체인(value chain)? 가치사슬? 반도체 제조공정 밸류체인 정리

밸류체인(value chain)은 무엇을 의미하나요?서론전 세계에서 가장 핫한 제품 중의 하나는 테슬라의 전기차입니다. 멋진 디자인, 가벼운 차체, 고성능 배터리, 오토파일럿 프로그램을 통한 부분적인 자율주행 등 테슬라의 전기차를 사고 싶게 만드는 요소들이 많이 담겨있습니다. 이런 멋진 자동차는 아무렇게나 만들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전기차에 맞는 설계, 가벼운 차체를 위한 복합소재, 안전하면서도 짧은 충전시간을 가능하게 만드는 배터리 기술, 수많은 데이터를 통해 학습한 인공지는 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요소들이 결합해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전기차 외에 스마트폰, 컴퓨터, TV, 선박건조, 반도체 등 많은 제품들이 이러한 다양한 원재료, 부품, 소프트웨어 등이 결합해 탄생하게 됩니다. 반도체 밸류체인밸류체인 ..

주식 2024.03.20

워런 버핏이 극찬했다는 버핏지수에 대해 알아보자?

어떻게 버핏지수가 되었을까?많은 사람들이 이런 생각을 한 번쯤은 해봤을 것입니다. "지금 지수가 저평가인가?" "지금의 주가가 비싼 건가?" "지금 지수는 적당한가?"  사실 그 누구도 지금의 주가가 고점인지 저점인지 알 수는 없습니다. 주식투자에 있어서는 1+1=2가 아닙니다. 정해진 공식도 없고  공식이 있다고 해도 변수가 워낙 많기 때문에 수학문제의 답과 같은 정답은 주식시장에는 없습니다. 그런데 주식시장에 적용할 수 있는 공식이 하나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버핏지수입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투자의 대가인 워런 버핏이 극찬한 공식입니다. 버핏지수란 국내총생산 (GDP) 대비 시가총액 비율을 뜻합니다. 워런 버핏이 2001년 미국 경제전문지와의 인터뷰에서 적정한 주가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최고의..

주식 2024.03.19
반응형